블록원(Block.one)은 블록체인 EOS를 만든 기업입니다.
EOS를 리눅스와 같은 공개 소프트웨어로 만들면서 EOS 토큰을 나눠주었고,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EOS가 엄청난 성공을 거둔 이유로는 블록원의 전략 때문이기도 하죠.


블록원은 1년간의 ICO를 통해 EOS 블록체인 생태계를 운영해 나갈만한 충분한 자금을 모금했고,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할 만한 수준의 블록체인을 내 놓았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모금한 자금을 벤처 캐피탈과 해커톤 등 EOS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기 위한 형태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것 중 하나가 에브리피디아(https://everipedia.org/)입니다.


현재 위키피디아의 공동 창업자인 Larry Sanger가 에브리피디아에 참여하고 있으며 굉장히 세련된 온라인 백과사전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최신 스타트업 정보와 부가적인 페이지들을 제공해 고급정보를 제공한다는 거죠.


이런 에브리피디아에 블록원은 3천만달러(한화로 약 330억)를 투자했습니다.

그리고 EOS 홀더들에게 에브리피디아의 토큰인 IQ를 무료로 에어드랍해서 투자자들의 EOS 투자에 보답했습니다.


그리고 EOS의 수량 중 10%인 1억개를 블록원이 가지고 있는데, 이 수량은 1년에 10%씩만 유동화 되면서 10년 동안 EOS 소프트웨어에 대해 서비스를 지속한다는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걸어(락업해서) 책임감을 갖고 꾸준히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은 시스템적으로 재미있는 설계입니다.

블록원도 돈 받고 일한다는 느낌도 들테구요.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의 활성도 정도를 보여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지난 댄 라리머 소개글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블록티비티(http://blocktivity.info/)라는 사이트인데, 이곳에서는 일간 활성도나 7일 평균, 그리고 최고기록과 현재 시장가치 등을 보여줍니다.



사이트는 이렇게 활동정도를 보여줍니다.

2018년 7월 26일 현재 순위는 위와 같네요.


  1. BTS: 비트쉐어라는 분산화 거래소 암호화폐입니다.
  2. STEEM: 스팀잇이라는 SNS를 가진 암호화폐로 글을 쓰고 추천을 받으면 보상을 암호화폐로 받습니다.
  3. ETH: 이더리움이라는 2세대 암호화폐의 선두주자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4. BTC: 비트코인입니다.
  5. EOS: 3세대 암호화폐의 선두주자인 EOS입니다.
  6. ETC: 이더리움 클래식이라는 코인인데, DAO 사태 이후 이더리움으로부터 분기되어 나왔습니다.
  7. GOLOS: 스팀(STEEM) 블록체인으로부터 라이센스를 허락받아 복제해 나온 러시아 SNS입니다.
  8. BCH: 비트코인 캐시는 2017년 8월 비트코인의 하드포크로 탄생했습니다.
  9. LTC: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보다 가볍고 빠르다는 컨셉으로 출시했습니다.
  10. DOGE: 장난식으로 만들었던 도지코인인데, 엄청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PP은 무엇인가?  (0) 2018.07.28
블록원(Block.one)  (0) 2018.07.27
EOS를 만든 사람, 댄 라리머  (0) 2018.07.25
왜 굳이 EOS인가?  (0) 2018.07.24
체인스(Chaince) 행운의 돌고래 추첨 이벤트  (0) 2018.07.24

EOS 블록체인의 개발자는 다니엘 라리머, 흔히 댄 라리머라고 부르는 현재 블록원(Block.one)의 CTO입니다.
댄 라리머는 EOS 이전에 비트쉐어(BitShare, BTS)와 스팀(STEEM)을 만든 개발자이기도 하죠.


댄 라리머가 처음 만든 블록체인은 비트쉐어(BitShare, BTS) 였습니다.
우스개소리로 방탄코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비트쉐어는 분산화된 암호화폐 거래소입니다.
비트쉐어는 기존의 비트코인이 갖고 있던 처리량을 획기적으로 늘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활성화 정도를 보여주는 블록티비티(http://blocktivity.info/) 사이트를 들어가 보면 현재 BTS가 1위를 하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습니다.

아니, 다시 보면 1위가 BTS이고, 2위가 스팀, 그리고 5위가 EOS이니 댄 라리머가 만든 3가지 종류의 암호화폐의 활성화 정도는 굉장히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댄 라리머는 어린시절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하기 시작했고, 창업가로 진로를 정했습니다.

댄이 처음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을 만났을 때 탈중앙화의 가치를 발견하고 그는 재빨리 뛰어들었습니다.

분산화된 거래소인 비트쉐어를 만들면서 미국 달러에 고정된 BitUSD를 만들었습니다.

아마도 분산화된 암호화폐 시장과 법정화폐 사이를 연결해 줄 것으로 생각하고 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시도는 스팀(STEEM)에서도 이어졌습니다.

두번째 암호화폐 프로젝트였던 스팀은 스팀잇이라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널리 퍼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과 다르게, 사용자들은 스팀잇에서 글을 쓰고 추천을 받으면 암호화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굉장한 혁신이었고, 그 혁신은 댄 라리머가 스팀잇을 떠난 지금도 SMT(Smart Media Token) 등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댄은 EOS를 맡아 개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1년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ICO를 만들어 내어 분산화를 더욱 강화하기도 했고, 스팀의 블록 생성주기인 3초를 뛰어넘어 0.5초마다 블록이 생성되도록 EOS를 개발해 냈습니다.

실제 1개월이 갓 지난 메인넷에서 3000 TPS(Transaction per second, 초당 트랜잭션 수)를 뛰어 넘었다는 사실은 EOS에 큰 기대를 하게 만들어 줍니다.

참고로 비트코인은 5 TPS, 이더리움은 20 TPS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EOS와 댄이 앞으로 어떻게 나갈지 지켜봐야 겠지만, 블록체인 역사에 큰 획을 그은 것만은 분명해 보입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PP은 무엇인가?  (0) 2018.07.28
블록원(Block.one)  (0) 2018.07.27
암호화폐의 활성도, 블록티비티(Blocktivity)  (0) 2018.07.26
왜 굳이 EOS인가?  (0) 2018.07.24
체인스(Chaince) 행운의 돌고래 추첨 이벤트  (0) 2018.07.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