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가운데 이더리움은 ERC-20이라는 형태의 독특한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해 냈습니다.
이더리움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비즈니스라도 ERC-20 이라는 토큰으로 자신의 암호화폐를 발행할 수 있게 한 겁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굉장히 독특한 방법으로 구현해 내었는데, 이로 인해 이더리움은 자신의 생태계를 굉장히 획기적으로 확장해 나갑니다.


각각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ERC-20 토큰 형태로 자신의 비즈니스를 팔 수 있게 되었는데, 이더리움은 트랜잭션 발생시마다 가스를 수수료로 소각해야 하는 관계로 그 가치가 굉장히 높아지게 되었죠.
만약 수수료가 없었다면, 만약 다른 프로젝트를 ERC-20 형태로 받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이더리움은 없었을 겁니다.
거래소 플랫폼인 카이버 네트워크나 동남아시아의 지역의 지급결제 수단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이는 오미세고 프로젝트들이 대표적인 ERC-20 토큰으로 된 암호화폐 프로젝트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EOS의 ICO 기간동안 블록원은 ERC-20 토큰 형태로 ICO 참여자들에게 EOS 토큰을 분배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2018년 6월 2일에 기존 ERC-20 토큰을 동결한 후 EOS 자체의 블록체인 메인넷으로 전환하면서 자동으로 EOS 코인으로 바꾸어 주었습니다.
기존 이더리움의 주소를 벗어나게 된 거죠.


이제 메인넷으로 자체 블록체인을 갖게 된 EOS는 과거 이더리움처럼 EOS 기반의 DAPP들을 갖게 됩니다.
아니,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EOS를 찾아 왔다는 게 보다 정확한 표현일 겁니다.
에브리피디아(IQ)나 호루스페이(HORUS), 카르마(KARMA) 등의 프로젝트가 EOS 기반의 DAPP으로 탄생했습니다.
그리고 2018년 8월 7일 현재 토큰 기준으로는 1200개가 넘는 EOS 기반의 토큰들이 뛰어나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테스트 용으로 만든 토큰도 포함해서 1200개 정도이고, 프로젝트를 공식화 한 토큰은 200개가 아직 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링크: https://gist.github.com/cc32d9/9239f1e67fe913aae3c86f956921e545)


'이더리움 킬러'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EOS가 과연 이더리움이 잠식하고 있었던 DAPP 프로젝트들을 EOS 기반으로 가져올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기존 이더리움 기반의 프로젝트였던 헤이븐(haven.io)도 EOS 병행지원을 예고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얼마나 유망한 코인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EOS의 설계대로 이더리움 기반에서 EOS 기반으로 넘어오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 듯 합니다.
얼마 전 퀀텀(QTUM)의 보디(Bodhi, BOT), 메디블록(Medibloc), 잉크(Ink), 로빈8(Robin8) 같은 프로젝트가 이더리움의 ERC-20 토큰으로 전환해서 화재가 되었었는데, EOS의 초당 트랜잭션 처리량(TPS)이 이더리움 대비 월등하다 보니 앞으로 EOS 기반으로 넘어오는 이더리움의 DAPP들도 점점 늘어나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비트코인이 나타난 이후로 다양한 사업모델을 블록체인에 접목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나타났습니다.
비트코인은 '지불수단' 및 '가치저장 수단'으로써의 암호화폐로 사용될 수 있다는 비즈니스 모델을 보여주었고,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이름으로 금융을 뛰어넘어 다양한 사업모델을 접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비트쉐어(BTS) 같은 경우는 거래소 모델을, 그리고 스팀(STEEM)은 스팀잇(Steemit)이라는 SNS 모델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 가운데 스팀잇이라는 SNS 서비스는 모든 트랜잭션 정보를 블록체인 위에 올려서 저장합니다.
스팀은 블록 생성시간을 3초로 획기적으로 당겼고, 실제 서비스 되고 있는 실체가 있는 블록체인 서비스 모델로 굉장히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SNS에다 글을 쓰면 암호화폐를 지급한다는 방식은 굉장히 신선하게 다가왔죠.
기존의 SNS는 그 이익을 회사가 독점한 반면 블록체인 SNS 서비스인 스팀잇은 지급되는 암호화폐의 가치로 사용자에게 나눠 준다는 의미니까요.


2018년 4월 기준으로 1백만 사용자 계정을 돌파했다고 하는데, 현재도 꾸준히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SMT(Smart Media Token)라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데, 이더리움의 토큰과 같이 스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암호화폐 토큰을 스타트업에서 쉽게 접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2018년 이내에 SMT가 나온다고 하면 스팀 블록체인 위에 또다른 프로젝트 서비스들이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다만 이러한 스팀잇도 비판을 받는 부분이 있는데, 불편한 UI와 스팀 암호화폐를 소요한 고래들의 편중이 심하다는 점입니다.

스팀잇은 컨텐츠의 가치를 사용자들이 부여해 주는 시스템인데, 사용자 가운데서도 스팀 암호화폐를 많이 보유한 사람이 좋아요(UPVOTE, 업보트)를 눌렀을 때 더 많은 수익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굉장히 자본주의 적입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위에 있다는 점 때문에 모두 투명하게 나타날 뿐이지 실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분배비율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의견도 있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이버 블로그와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아무리 써도 1원 하나 안주는데, 환금성이 있는 암호화폐를 준다는 점에서는 스팀잇의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 할 수 있겠습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경우 POW(Proof of Work)라는 작업증명 방식을 이용해 채굴을 해 왔습니다.
하지만 POW 방식은 컴퓨팅 파워와 자원의 소모가 많다보니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고, 2세대 채굴방식인 POS(Proof of Stake, 지분증명)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POW가 블록체인 생성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지만, 컴퓨팅 파워를 소모해 그 비율 만큼의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형태라고 한다면 POS는 해당 암호화폐의 지분을 가진 노드만이 채굴에 참여할 수 있고, 채굴에 참여하는 지분의 비율만큼 암호화폐를 채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OS 방식을 사용하는 암호화폐로는 퀀텀(QTUM)이나 네오(NEO) 등이 있습니다.


POS 방식으로 암호화폐를 채굴하기 위해서는 암호화폐를 지갑에 넣고 잠금(Lock)을 한 뒤, 채굴 프로그램을 돌리면 됩니다.
POW 방식과 다르게 암호화폐를 갖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생성에 참여하는 컴퓨터(노드)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이는 채굴 속도가 빨라짐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1초당 발생할 수 있는 거래의 숫자가 3~5 TPS(Transaction per Second)라고 하는데, 퀀텀의 경우에는 70~100 TPS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퀀텀은 7천개 정도의 노드가 채굴에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POS 방식의 채굴은 컴퓨팅 파워 소모의 절감과 블록체인의 생성 속도를 빠르게 한 점에서 굉장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 장점을 보고 POW 방식의 이더리움(ETH, Ethereum)도 장기적으로 POS 방식으로 전환하겠다는 선언을 했지요.

하지만 언제 될런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암호화폐를 접하다 보면 POW, POS, DPOS 등의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이 용어들은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방식을 뜻하는데, POW는 Proof of Work 이라는 '작업증명'이라는 뜻을 가지는 작업방식을 뜻합니다.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의 논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블록체인은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때 이전 정보의 다음 블록이라는 것을 기록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또 새로운 블록이 자전거의 체인처럼 이어지는 형태로 만들어지구요.

블록체인은 그렇게 때문에 '블록으로 연결된 체인'이라는 뜻으로 풀어서 이해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POW, 작업증명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때 복잡한 계산을 통해 블록의 입력을 맞추어 냅니다.
이 과정에서 그래픽 카드의 GPU를 이용해 단순 계산을 엄청나게 하고, 이런 작업을 과거 광산에서 광석들을 '채굴'하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해서 '채굴'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채굴되는 것은 것은 작업증명을 통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데에 대한 대가로써 지급하는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지요.
이 비트코인이라는 것을 얻기 위해서 컴퓨터에게 작업을 시켜 복잡한 계산식을 풀어냅니다.


또한 블록체인은 수많은 컴퓨터들이 연산을 통해 블록을 나누어 저장하는데요.
이런 저장과 연산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 하나하나를 '노드'라고 부릅니다.
이 노드들 가운데 51%가 동의하면 이 블록은 '진짜' 블록으로 인정받는 거죠.
이론적으로는 누군가가 50%를 초과하는 노드를 조작한다면 새로운 블록을 조작할 수 있다고 하는데, 양자 컴퓨터가 나오면 그런 일들도 생기지 않겠냐는 이야기가 있기도 했습니다.


최초 비트코인을 비롯해 2세대 암호화폐라 부르는 이더리움의 경우에도 POW 방식을 통한 채굴을 하고 있습니다.
POW 방식의 장점은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하기 위한 직접적인 연산을 수행한다는 점과 놀고있는(?) 컴퓨터 자원을 이용해 이 토큰 이코노미에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채굴을 위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데, 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내 컴퓨터에서 돌리면 됩니다.
최초의 블록(제네시스 블록)으로부터 다른 노드들이 가진 최신의 블록까지 모두 다운로드 받고 나면 채굴(블록을 생성하고 인증하는 작업)에 참여하게 되는 거죠.
내부적인 로직은 굳이 알 필요없이 배포되는 블록체인 프로그램만 돌리면 됩니다.
그래서 2010년대 초반에는 일반 가정용 PC로도 비트코인을 꽤 채굴할 수 있었다고 하죠.
(그 때 그랬어야 했는데... ㅠ)


POW 방식의 장점이 누구나 채굴에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하면, POW 방식의 단점은 복잡한 연산을 위한 컴퓨팅 파워와 전력 소모가 많다는 점입니다.
2018년 7월 현재 비트코인 1개를 채굴하기 위해 들어가는 전력량이 6백만원 가량이 된다고 하니 굉장한 낭비처럼 느껴지기도 하죠.
이는 경쟁자들이 많아지고, 비트코인 블록체인 채굴에 참여하는 컴퓨팅 파워가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이렇게 들어가는 비용 때문에 비트코인의 가격이 지지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생산 비용보다 현재 가격이 더 싸다면 생산에 참여할 이유가 굳이 없는 거죠.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의 활성도 정도를 보여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지난 댄 라리머 소개글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블록티비티(http://blocktivity.info/)라는 사이트인데, 이곳에서는 일간 활성도나 7일 평균, 그리고 최고기록과 현재 시장가치 등을 보여줍니다.



사이트는 이렇게 활동정도를 보여줍니다.

2018년 7월 26일 현재 순위는 위와 같네요.


  1. BTS: 비트쉐어라는 분산화 거래소 암호화폐입니다.
  2. STEEM: 스팀잇이라는 SNS를 가진 암호화폐로 글을 쓰고 추천을 받으면 보상을 암호화폐로 받습니다.
  3. ETH: 이더리움이라는 2세대 암호화폐의 선두주자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4. BTC: 비트코인입니다.
  5. EOS: 3세대 암호화폐의 선두주자인 EOS입니다.
  6. ETC: 이더리움 클래식이라는 코인인데, DAO 사태 이후 이더리움으로부터 분기되어 나왔습니다.
  7. GOLOS: 스팀(STEEM) 블록체인으로부터 라이센스를 허락받아 복제해 나온 러시아 SNS입니다.
  8. BCH: 비트코인 캐시는 2017년 8월 비트코인의 하드포크로 탄생했습니다.
  9. LTC: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보다 가볍고 빠르다는 컨셉으로 출시했습니다.
  10. DOGE: 장난식으로 만들었던 도지코인인데, 엄청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PP은 무엇인가?  (0) 2018.07.28
블록원(Block.one)  (0) 2018.07.27
EOS를 만든 사람, 댄 라리머  (0) 2018.07.25
왜 굳이 EOS인가?  (0) 2018.07.24
체인스(Chaince) 행운의 돌고래 추첨 이벤트  (0) 2018.07.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