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나타난 이후로 다양한 사업모델을 블록체인에 접목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나타났습니다.
비트코인은 '지불수단' 및 '가치저장 수단'으로써의 암호화폐로 사용될 수 있다는 비즈니스 모델을 보여주었고,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이름으로 금융을 뛰어넘어 다양한 사업모델을 접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비트쉐어(BTS) 같은 경우는 거래소 모델을, 그리고 스팀(STEEM)은 스팀잇(Steemit)이라는 SNS 모델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 가운데 스팀잇이라는 SNS 서비스는 모든 트랜잭션 정보를 블록체인 위에 올려서 저장합니다.
스팀은 블록 생성시간을 3초로 획기적으로 당겼고, 실제 서비스 되고 있는 실체가 있는 블록체인 서비스 모델로 굉장히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SNS에다 글을 쓰면 암호화폐를 지급한다는 방식은 굉장히 신선하게 다가왔죠.
기존의 SNS는 그 이익을 회사가 독점한 반면 블록체인 SNS 서비스인 스팀잇은 지급되는 암호화폐의 가치로 사용자에게 나눠 준다는 의미니까요.


2018년 4월 기준으로 1백만 사용자 계정을 돌파했다고 하는데, 현재도 꾸준히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SMT(Smart Media Token)라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데, 이더리움의 토큰과 같이 스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암호화폐 토큰을 스타트업에서 쉽게 접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2018년 이내에 SMT가 나온다고 하면 스팀 블록체인 위에 또다른 프로젝트 서비스들이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다만 이러한 스팀잇도 비판을 받는 부분이 있는데, 불편한 UI와 스팀 암호화폐를 소요한 고래들의 편중이 심하다는 점입니다.

스팀잇은 컨텐츠의 가치를 사용자들이 부여해 주는 시스템인데, 사용자 가운데서도 스팀 암호화폐를 많이 보유한 사람이 좋아요(UPVOTE, 업보트)를 눌렀을 때 더 많은 수익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굉장히 자본주의 적입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위에 있다는 점 때문에 모두 투명하게 나타날 뿐이지 실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분배비율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의견도 있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이버 블로그와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아무리 써도 1원 하나 안주는데, 환금성이 있는 암호화폐를 준다는 점에서는 스팀잇의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 할 수 있겠습니다.

블록체인을 이야기하면서 DAPP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DAPP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DAPP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약자로 분산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뜻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분산화된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면 Bitshare나 Chaince 같은 거래소도 하나의 분산화된 어플리케이션이고, 스팀잇 같은 SNS 서비스도 DAPP입니다.



위는 EOS의 DAPP인 체인스 거래소(https://chaince.com/trade) 입니다.



그리고 위는 STEEM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SNS DAPP인 스팀잇(https://steemit.com/)입니다.

여기 글에 달러로 보이는 숫자는 스팀잇의 보상을 뜻합니다.

재미있는 형태로 DAPP들이 발전하고 있죠.

이것들이 모두 블록체인을 이용한 서비스입니다.


앞으로 DAPP들이 어떤 형태로 발전해 나갈지 기대가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