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의 여러 DAPP(Distributed Application) 가운데 대표적으로 소개되어 알려진 것은 에브리피디아(Everypedia)입니다.
에브리피디아는 EOS의 제네시스 스냅샷을 기준으로 EOS 1개당 5.5개의 IQ 토큰을 에어드랍 하기도 했구요.
이미 알려진 것처럼 위키피디아의 블록체인형 모델이면서 토큰 이코노미를 통해 에디터들에게 보상하고, 외부에 양질의 컨턴츠 데이터를 소싱해 주면서 수익을 발생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화면은 에브리피디아에 대한 에브리피디아의 설명을 보여주는 페이지입니다.

기존 위키피디아와 비교해 보면 굉장히 깔끔하고 고급스럽게 만들어 져 있습니다.


에브리피디아의 IQ토큰은 발행 직후부터 큰 인기몰이를 했습니다.
체인스를 비롯해 업비트와 여러 거래소에 상장되었죠.

상장직후 급등과 급락을 거듭해서 2018년 8월 21일 현재 가격은 원화 기준으로 15원 정도로 안정화 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에브리피디아의 에디터로 활동하게 된다면 IQ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고, 거래소를 통해 현금화 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수수료 정책에 있어 기존의 무료 정책을 버리고 0.1%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점은 옥의 티로 지적받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을 이야기하면서 DAPP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DAPP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DAPP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약자로 분산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뜻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분산화된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면 Bitshare나 Chaince 같은 거래소도 하나의 분산화된 어플리케이션이고, 스팀잇 같은 SNS 서비스도 DAPP입니다.



위는 EOS의 DAPP인 체인스 거래소(https://chaince.com/trade) 입니다.



그리고 위는 STEEM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SNS DAPP인 스팀잇(https://steemit.com/)입니다.

여기 글에 달러로 보이는 숫자는 스팀잇의 보상을 뜻합니다.

재미있는 형태로 DAPP들이 발전하고 있죠.

이것들이 모두 블록체인을 이용한 서비스입니다.


앞으로 DAPP들이 어떤 형태로 발전해 나갈지 기대가 됩니다.

+ Recent posts